요즘 미국 ETF 직투하시는 분들 정말 많죠? 저도 그중 한 명인데요. 저는 미국 배당주 ETF 중에서도 유명한 SCHD를 직접투자(직투)로 꾸준히 모으고 있어요. 배당 수익도 꽤 짭짤하고,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기대할 수 있는 종목이라 만족하면서 투자하고 있어요.
그런데 얼마 전부터 고민이 생겼어요. 바로, 매년 250만 원 비과세 한도에 맞춰서 매도했다가 다시 매수하는 게 정말 좋은 전략일까? 하는 거였죠. 커뮤니티에서도 이 전략에 대한 이야기가 많이 오가고 있어서, 실제로 해본 경험과 고민을 바탕으로 오늘 그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해요.
혹시 저처럼 장기적으로 SCHD를 투자하고 계신 분이라면, 이 글이 꽤 유용하실 거예요. 놓치기 쉬운 절세 전략부터, 제가 직접 해본 방식, 주의해야 할 점까지 찬찬히 소개할게요.
SCHD 직투, 왜 250만 원 비과세가 중요할까요?
먼저 이 부분부터 짚고 넘어갈게요. 한국에서 미국 주식이나 ETF를 직접 투자하면, 매도 차익에 대해 세금을 내야 해요. 이게 바로 양도소득세인데요, 250만 원까지는 비과세, 그 이상은 22% 세율이 적용돼요.
즉, 내가 연간 매매를 통해 얻은 차익이 250만 원 이하면 세금을 전혀 안 내고, 그 이상이면 초과분에 대해 세금이 부과되는 구조죠. 그래서 많은 투자자들이 매년 연말쯤 되면, 수익이 250만 원을 초과하기 전에 일부를 매도해서 비과세 한도를 챙기고, 다시 같은 ETF를 매수하는 전략을 사용해요.
저도 이 전략을 처음 들었을 땐, ‘어? 이거 완전 꿀팁 아냐?’ 싶었어요. 그래서 실제로 해봤고요. 결과적으로는 꽤 만족스러운 절세 효과를 볼 수 있었어요.
매도 후 재매수, 타이밍은 연중? 연말?
이건 꽤 자주 나오는 질문인데요, 연중에 하든 연말에 하든 세금 측면에서는 차이가 없어요. 중요한 건 해당 연도 안에 실현한 수익이 250만 원 이하로 맞춰졌는지 여부예요.
다만 타이밍적인 측면에서 보면, 저는 연말에 가까운 시점에 매도하고 재매수하는 쪽을 선호해요. 이유는 간단해요. 연말에 주가가 더 우상향한 상태라면, 그만큼의 시세 차익을 실현할 수 있고, 250만 원 한도를 꽉 채워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으니까요.
물론 주가 흐름을 예측할 순 없지만, 한 해 동안 상승세였던 종목이라면 연말쯤에 최고점을 찍는 경우도 종종 있으니까요. 괜히 연중에 성급히 매도했다가, 더 오르는 모습을 보면 아쉬움이 크게 남더라고요.
실제로 제가 해본 매도-재매수 전략
제가 이 전략을 처음 사용한 건 작년 말이었어요. SCHD 수익이 대략 280만 원 정도였는데, 30만 원은 과세 대상이 되더라고요. 그래서 12월 초쯤에 보유 중인 수량 일부를 매도해서 수익을 250만 원 수준으로 맞춘 다음, 다음 날 바로 같은 수량을 다시 매수했어요.
결과적으로 양도세를 약 6만 6천 원가량 아낄 수 있었고, 매수 단가가 살짝 올라가긴 했지만 장기 보유 기준에선 큰 차이가 없었어요. 그리고 가장 좋은 건, 절세를 했다는 마음의 평안이더라고요. 괜히 세금 내고 나면 그게 또 오래 기억에 남거든요.
많은 분들이 하는 오해: 평단가가 올라가니까 손해?
이 부분에서 많은 분들이 걱정하세요. “재매수하면 매수단가가 올라가니까, 나중에 매도할 때 세금 더 많이 내는 거 아니야?” 하고요.
그런데 이건 오히려 좋은 효과가 있어요. 왜냐하면, 나중에 매도할 때 실현되는 차익이 줄어들어서 세금 부담이 줄어들 수 있거든요. 물론, 주가가 크게 오르면 어차피 과세 대상이 될 수 있지만, 그때는 이미 수익이 난 상태라 세금 내는 게 덜 아깝게 느껴져요.
그리고 배당 수익은 수량 기준으로 지급되기 때문에, 평단가가 오르든 말든 배당금은 줄지 않아요. 이 점도 많은 분들이 간과하는 부분이더라고요.
장기 투자자에게도 유리할까?
이건 제일 핵심적인 질문이에요. “나는 10년 이상 장기투자할 생각인데, 굳이 매도하면서 평단 올려야 해?” 이런 생각 하시는 분들 많거든요.
저도 장기 투자자 입장에서 고민 많이 했어요. 그런데 생각해보면, 어차피 장기 투자 중간에 한 번쯤은 매도할 일이 생길 수도 있고, 그 시점에서 세금을 아끼는 건 무조건 유리한 선택이에요.
매년 250만 원 한도 내에서 합법적으로 절세를 하고, 평단가를 올려서 나중에 세금 부담도 줄이는 구조를 만드는 거죠. 당장 체감이 안 될 수 있어도, 10년, 20년 쌓이면 그 차이가 꽤 크더라고요.
이 전략, 언제는 피하는 게 좋을까요?
사실 모든 전략엔 예외가 있어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굳이 250만 원 전략을 쓰지 않아도 된다고 생각해요.
- 주가가 너무 급등해서 재매수 시점에 리스크가 클 경우
- 매도 시 수수료, 환전 수수료 등을 고려했을 때 실익이 별로 없을 경우
- 단기 트레이딩이 아닌데, 너무 자주 사고팔면 투자 흐름이 끊기는 느낌이 들 때
이럴 땐 그냥 장기 보유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에요. 전략은 언제나 유연해야 하니까요.
결론: 250만 원 비과세 매도는 '전략적으로' 활용하세요
SCHD 직투하면서 매년 250만 원 비과세 매도 후 재매수하는 전략은, 현실적인 절세 방법 중 가장 쉽고 효과적인 방법 중 하나예요. 저도 이 전략을 통해 실제로 세금을 줄였고, 장기 투자 관점에서도 손해보지 않았어요.
꼭 연말이 아니어도 상관없고, 내가 원하는 시점에 수익이 250만 원을 넘기 전이라면 얼마든지 활용할 수 있어요. 재매수 타이밍만 신중히 잡으면, 장기적으로도 긍정적인 결과를 기대할 수 있겠죠?
혹시 SCHD나 다른 미국 ETF 투자하면서 이 전략 써보셨나요?
실제로 해보면 의외로 간단하고, 절세 효과도 꽤 커요. 장기 투자하면서도 할 수 있는 몇 안 되는 ‘현명한 꼼꼼함’이라고 생각해요.
오늘도 현명한 투자 되시길 바랄게요!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고객예탁금과 신용잔고: 투자자의 마음과 시장의 신호 읽기 (0) | 2025.09.22 |
---|---|
예적금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느낄 때, ISA와 배당 ETF로 시작하는 안전한 자산 불리기 (1) | 2025.09.20 |
요즘 투자자들 사이에서 핫한 '토큰화 ETF'… 이거 도대체 뭐야? (0) | 2025.09.12 |
장세에 대한 솔직한 생각: 고점? 떡상? 그건 모르는 일! (0) | 2025.09.11 |
금리 인하 앞두고 부자들이 선택한 투자 전략, 나도 따라해도 될까? (0) | 2025.09.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