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에서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Q: 개인이 어떻게 자신과 가족을 지킬 수 있나요?
A: 통화량 팽창 시대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화폐를 좋은 자산으로 바꾸는 것입니다. 자산으로의 변환을 통해 인플레이션과 통화량 증가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Q: 아파트 가격이 너무 높아졌다고 폭락할 거라 생각하는 사람들에게 어떤 조언을 할 수 있나요?
A: 폭락론자나 현금을 선호하는 사람들에게 다시 한 번 생각해보라고 말하고 싶습니다. 현재의 화폐 시스템과 통화량 팽창을 고려해 볼 때, 자산으로서의 투자 방법이 더 중요한 시점입니다.
Q: 현금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논리는 맞지 않나요?
A: 현금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의 논리는 현재의 화폐 시스템과 통화량 팽창을 고려했을 때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실질적인 자산을 어떻게 만들어놓을 것인지가 더 중요한 문제입니다.
Q: 이 시스템의 피해자가 되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A: 전세계의 화폐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그 시스템에서 피해자가 되지 않으려면 실질적인 자산을 보유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산을 통해 시스템의 변화에서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Q: 인플레이션이 실제 물가를 반영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률을 나타내지만, 물가 상승률을 계산하는 방식에서 여러 요소들이 포함되어 있어 부동산 상승과 같은 중요한 요소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 수치가 실제 물가를 정확히 반영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Q: 현재 체제가 변할 가능성이 있나요?
A: 지금으로서는 체제가 변할 가능성이 적습니다. 코인 같은 대안이 있을 수 있지만, 화폐로서의 안정성을 갖추기까지는 시간이 많이 걸릴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코인이 화폐를 대체하는 데까지는 많은 시간이 필요할 것입니다.
Q: 코인이 화폐를 대체하는 데 왜 시간이 걸릴까요?
A: 화폐가 되려면 교환의 수단이 될 수 있고, 가치가 안정적으로 매겨져야 합니다. 그러나 비트코인과 같은 암호화폐는 안정적이지 않아서, 화폐로 자리 잡기까지 많은 시간이 필요합니다.
Q: 정부가 화폐 발행을 독점하는 세상에서 우리가 해야 할 일은 무엇인가요?
A: 화폐를 자산으로 바꾸는 방법밖에 없습니다. 물가 상승과 통화량 증가를 감안했을 때, 자산에 투자하는 것이 현명한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Q: 원베일리 60억 원 가격은 이상한 현상이 아닌가요?
A: 원베일리 60억 원은 이상한 현상이 아니며, 앞으로 가격이 더 오를 가능성도 높습니다. 물론, 사이클상 가격이 떨어질 때도 있지만, 장기적으로는 계속 상승할 가능성이 큽니다.
Q: 로마와 지금의 경제 시스템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A: 현재의 경제 시스템도 마찬가지로 통화량을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정부와 전세계는 극단적인 상황에 이르지 않도록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결국 통화량의 팽창을 막을 방법은 없습니다.
Q: 통화량 팽창을 막을 수 없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통화량은 팽창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 있습니다. 이를 막기 위한 노력은 있지만, 근본적으로 통화량을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 현실입니다.
Q: 국가에서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채권은 국가가 돈을 빌리는 방식입니다. 국가가 담보 없이 돈을 빌리고, 그 돈을 시장에 유통시키면서 화폐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국가가 계속 채권을 발행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Q: 국가가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가 미국의 부채와 관련이 있나요?
A: 맞습니다. 미국은 부채를 많이 지고 있지만, 계속해서 채권을 발행할 수 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습니다. 이 시스템은 1971년 브레튼 우즈 체제가 무너지면서 시작되었습니다. 그때부터 금과의 연동을 깨고 통화량을 자유롭게 증가시킬 수 있는 구조로 바뀌었습니다.
Q: 1971년에 벌어진 브레튼 우즈 체제의 변화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1971년에 미국은 금의 연동에서 벗어나 통화량 증가를 자유롭게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바뀌었습니다. 이를 통해 정부는 언제든지 통화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상황이 되었고, 이로 인해 아파트 가격과 같은 자산 가격이 급등한 근본적인 원인이 되었습니다.
Q: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은 같은 개념인가요?
A: 통화량 증가와 인플레이션은 같은 개념이 아닙니다. 인플레이션은 물가 상승률을 의미하지만, 물가 상승률을 계산하는 방식에 따라 왜곡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실제 물가를 정확히 반영하지는 않습니다.
Q: 물가 상승률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A: 물가 상승률을 계산하는 요소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 비중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떤 품목을 더 크게 포함시키거나 제외시키는 방식으로 물가 상승률이 조작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물가 상승률이 항상 낮게 나오는 이유도 이러한 계산 방식 때문입니다.
Q: 실제 물가는 물가 상승률과 어떻게 다르나요?
A: 물가 상승률은 정부가 발표하는 통계상의 수치일 뿐, 실제 우리가 체감하는 물가는 그보다 훨씬 높은 경우가 많습니다. 예를 들어, 집값이나 전세 가격은 물가 상승률을 크게 웃도는 상승률을 보이고 있습니다.
Q: 전세 가격이 5% 이상 오르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
A: 정부에서 전세 가격 상승을 5% 이내로 제한하자는 법안을 제안한 것처럼, 실제로 전세 가격은 물가 상승률을 훨씬 초과하는 수준으로 상승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이는 현실적인 물가 상승과 통계상의 물가 상승이 일치하지 않음을 보여줍니다.
Q: 얼마 전에 입주한 원 베일리의 84형 가격은 얼마인가요?
A: 가격은 60억 원으로 가장 최저로 거래된 금액은 45억 원입니다. 평균적으로 한 50억 원 정도입니다.
Q: 이런 아파트는 누가 살까요?
A: 이런 아파트를 사는 사람은 극소수입니다. 대부분은 과거에 샀던 부동산이 상승해서 그 차익을 본 후, 또는 부모님이 준 돈을 합쳐서 사는 경우가 많습니다.
Q: 2020년에 원 베일리의 가격은 어땠나요?
A: 2020년에는 원 베일리의 가격이 22억 원 정도였고, 일반인들이 구매하기 어려운 가격이었지만 여전히 상상할 수 있는 범위였던 금액입니다.
Q: 22억 원에 사던 아파트가 4년 만에 60억 원으로 상승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A: 그동안 추가적인 분담금 등 디테일한 계산이 필요하지만, 전반적으로 상당한 상승을 했습니다. 이는 주로 통화량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Q: 이런 가격 상승을 보고 폭락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어떤 이유를 들고 있나요?
A: 폭락론자들은 가격 상승이 이해되지 않으며, 상식적으로 말도 안 되는 금액이라며 결국 거품이 꺼져서 폭락할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Q: 이런 자산 가격 상승의 원리는 무엇인가요?
A: 자산 가격이 상승하는 가장 중요한 원리는 통화량 증가입니다. 특히, 1971년부터 통화량 증가가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이루어졌습니다.
Q: 어떻게 통화량이 증가하게 되나요?
A: 돈을 찍어내는 것이 아니라, 은행에서 대출을 통해 통화량이 증가합니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은행에 1억 원을 저축하면 은행이 그 돈을 대출해 주고, 대출받은 돈이 다시 시중에 풀리면서 점차적으로 더 많은 돈이 생성됩니다.
Q: 통화량 증가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A: 예를 들어, A씨가 1억 원을 저축하고, B씨가 은행에서 9천만 원을 대출받으면 그 돈은 다시 시중에 풀립니다. 그 돈을 받은 C씨는 다시 은행에 그 돈을 예금하고, 은행은 D씨에게 또 대출을 해줍니다. 이런 방식으로 처음 1억 원에서 점점 더 많은 돈이 만들어집니다.
'독서와 부자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장인이 부자가 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0) | 2025.02.20 |
---|---|
대한민국 상위 1%와 0.1%에 속하려면 연봉이 얼마나 되어야 할까요? (0) | 2025.02.18 |
빚을 어떻게 인식하느냐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0) | 2025.02.17 |
가구당 상위 1% 부자의 자산은 어떻게 되나요? (0) | 2025.02.17 |
왜 배당금으로 들어오는 돈은 조금 더 공격적으로 투자하시나요? (0) | 2025.02.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