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레버리지 매수, 하락장에서 기회를 잡는 현명한 투자 전략

by 마켓핑크 2025. 3. 15.
반응형

✨ 마켓핑크의 다양한 인사이트 보기 ✨



---

"어휴, 또 시작이네..." 혹시 요즘 이런 생각 자주 하시나요? 애플 주가가 3.36%나 빠지고, 테슬라는 2.99%나 하락했다는 소식에 숨 막히는 기분이 드는 건 저뿐만이 아닐 겁니다. 특히 TQQQ, 작년 고점 대비 무려 36.7%나 하락했다니, 억 소리 나는 손실에 망연자실하신 분들도 계실 거예요.

저 역시 작년 말까지만 해도 꽤 짭짤한 수익을 올리고 있었지만, 지금은 TQQQ 평가액에서 몇 천만 원이 사라진 상황입니다. 솔직히, 처음에는 '멘붕'이 오기도 했죠. 하지만 지금은 오히려 기분이 좋습니다. 마치 보물찾기라도 시작한 아이처럼 설레고 흥분돼요. 왜냐고요? 지금은 싼 가격에 미래를 담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니까요!

오늘 이 글에서는 제가 어떻게 하락장을 기회로 바꾸고 있는지, 그리고 레버리지 매수를 통해 어떻게 자산을 불려나가고 있는지 솔직하게 공유하려고 합니다. 물론, 투자는 개인의 판단에 따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마시고요!

1. 하락장에 대처하는 자세: 내 돈이라고 생각하지 마라?


주가가 쉴 새 없이 고공행진할 때, 저도 모르게 '이 돈이 다 내 돈이다!'라는 착각에 빠지기 쉬웠습니다. 하지만 저는 항상 마음속으로 '이 돈은 언제든 사라질 수 있다'라고 되뇌었습니다. 그래서 수익이 계속 늘어나도 크게 기뻐하거나 흥분하지 않았죠. 마치 롤러코스터를 타는 것처럼, 오르막이 있으면 내리막도 있다는 것을 항상 염두에 뒀습니다.

이런 마인드셋은 하락장에서 빛을 발합니다. 만약 주가가 폭락했을 때, '내 돈 5천만 원이 공중분해됐다!' 혹은 '수익 1억이 5천만 원으로 줄었네? 5천만 원이 0원이 되면 어떡하지?'라는 생각에 사로잡힌다면, 불안감에 휩싸여 섣부른 판단을 내리기 쉽습니다. 결국 팔아야 할 때를 구분하지 못하고, 손절매를 반복하는 악순환에 빠질 수 있죠.

하지만 진짜 '내 돈'은 지금처럼 손실이 나고 있을 때, 싼 가격으로 매수한 자산이라고 생각합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이 인터뷰에서 말했듯이, 이러한 하락장은 누군가에게는 좋은 기회입니다.

 

2. 계획적인 레버리지 매수 전략: 원칙을 세우고 꾸준히 실행하라

 


저는 오래전부터 저만의 레버리지 매수 원칙을 세우고 꾸준히 실천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싸니까 사자!'라는 감정적인 판단이 아니라, 구체적인 기준과 계획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죠.

과거에는 주가가 18% 하락할 때마다 정해진 금액을 매수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돌이켜보면 아쉬운 점이 많았어요. 주가 조정 폭이 크지 않으면 중간에 매수가 멈춰버리고, 충분히 저렴한 가격에 더 많이 사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했죠.

그래서 지금은 전략을 수정했습니다. 초기 6번의 매수는 16% 하락 시마다 진행하고, 매수 금액도 점진적으로 늘립니다. 이렇게 하면 초반에 투자 원금이 적을 때 평단가를 빠르게 낮출 수 있습니다. 이후 6번의 매수는 금액을 늘리지 않고 유지합니다. 왜냐하면 후반부에는 이미 투자한 원금이 많고, 주가 하락 폭도 줄어들기 때문에 평단가 인하 효과가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구체적인 사례:

최근 TQQQ가 58.7달러까지 하락했을 때, 저는 미리 정해둔 원칙에 따라 500만 원어치를 매수했습니다. 그 결과, 현재 TQQQ 평단가는 35.46달러, 수익률은 67.3%에 달합니다. 투자 원금은 약 3,800만 원 정도인데, 3월에만 원금이 900만 원이나 늘었습니다. 고점 대비 -25% 하락했을 때 400만 원어치를 매수했고, 추가로 16% 하락한 오늘 2차 매수를 진행했습니다.

물론, 저의 레버리지 매수 전략이 모든 투자자에게 정답은 아닐 겁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자신만의 원칙을 세우고, 냉철하게 시장 상황을 분석하며,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죠.

 

3. 레버리지 투자의 함정: 고점에서의 수익은 '가짜 돈'?

 

✨ 마켓핑크의 다양한 인사이트 보기 ✨


레버리지 투자는 분명 매력적인 투자 방법입니다. 하지만 그만큼 위험 부담도 크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특히, 주가가 쉴 새 없이 오를 때는 마치 '돈 복이 터진' 듯한 기분을 느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점에서의 수익은 온전히 '내 돈'이라고 착각해서는 안 됩니다.

고점에서의 수익은 하락뿐만 아니라 변동성, 끌림 현상, 스왑 비용, 이자 비용 등 다양한 요소에 의해 좌우됩니다. 즉, 레버리지 투자는 주가가 오르면 오를수록 불안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래서 저는 애초에 투자금 자체를 작게 설정하고, 꾸준히 리밸런싱을 통해 위험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부분:

레버리지 투자는 '묻어두면 언젠가는 오르겠지'라는 생각으로 장기 투자하기에는 매우 위험한 상품입니다. 레버리지 ETF는 기초 자산의 일별 수익률을 추종하도록 설계되었기 때문에, 장기적으로는 변동성으로 인해 수익률이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를 '변동성 끌림(Volatility Drag)' 현상이라고 합니다. 따라서 레버리지 투자는 단기적인 시세 차익을 노리는 전략에 적합하며, 꾸준한 리밸런싱과 위험 관리가 필수적입니다.

 

4. 리스크 관리: 100% 수익 실현 전략과 배당주 투자

 


저는 마지막 매수가를 기준으로 100% 상승할 때마다 일부 자산을 매도하여 수익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지금까지 잘 지켜왔고 앞으로도 꾸준히 유지할 계획입니다. 최근에는 저점에서 더 많이 투자하고, 고점에서 더 많이 팔아도 괜찮겠다는 생각을 하게 되었습니다. 즉, 하락 구간에서 하이 리스크를 감수하고 얻은 수익을 상승 구간에서 실현하는 것이죠.

그렇게 실현된 수익은 리얼티컴이나 슈드(Schd) 같은 배당주 투자로 전환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배당주는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제공하기 때문에, 포트폴리오의 안정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또한, 배당금을 재투자하여 복리 효과를 누릴 수도 있죠.

향후 계획:

저는 앞으로 100% 수익 실현 전략을 80% 수익 실현 전략으로 변경할 예정입니다. 이를 통해 더 자주 수익을 실현하고, 투자금을 유동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합니다. 물론, 6.4달러까지 하락할 것이라고 예측하는 것은 아닙니다. 저는 하락의 끝을 알 수 없기 때문에, 큰 폭의 하락 시마다 계획된 레버리지 매수를 꾸준히 실행할 것입니다.

5. 결론: 안전을 위한 선택, 계획적인 레버리지 매수


TQQQ와 같은 레버리지 상품, 특히 세 배 레버리지에 투자하고 계시다면, 이 정도의 계획은 가지고 매수를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이는 단순히 수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전략이 아니라, 안전을 위한 선택입니다. 위험한 상품에 투자할수록, 더욱 안전한 방법으로 투자해야 합니다. 그래야 위험한 상품에서 발생하는 고수익을 얻으면서, 안전한 투자 방법에서 얻을 수 있는 안전망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투자는 끊임없는 자기 성찰과 개선의 과정입니다. 저 역시 끊임없이 배우고 경험하며, 저만의 투자 전략을 발전시켜 나가고 있습니다. 이 글이 여러분의 성공적인 투자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마켓핑크의 다양한 인사이트 보기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