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각종 금융상품

ISA 해지 후 개인연금 계좌 투자, 세액공제 제대로 이해하기!

by 마켓핑크 2025. 8. 12.
반응형

서론

“ISA 해지하고 남은 돈, 개인연금에 넣으면 세금 혜택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
요즘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ISA)를 해지한 뒤 그 돈을 개인연금 계좌에 넣어 절세 효과를 보려는 분들이 많습니다. 저도 얼마 전 비슷한 상황을 겪으면서, 이 부분에 대해 헷갈리고 궁금했던 적이 있었는데요.
주변에서는 서로 다른 이야기를 해주고, 인터넷에 검색해봐도 애매한 정보가 많아서 정확한 답을 찾기 힘들더라고요. 그래서 직접 꼼꼼히 확인하고 정리해 보았습니다.
이 글에서는 ISA 해지금 2천만 원을 IRP와 연금저축펀드에 나눠 투자할 때 세액공제가 어떻게 적용되는지, 그리고 많이들 오해하는 부분을 쉽게 풀어 설명할게요.

본론

1. ISA와 개인연금 계좌의 기본 개념부터 정리

먼저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는 여러 금융상품을 한 계좌에서 관리할 수 있는 투자통장으로, 계좌 내 수익에 대해 일정 조건 하에 비과세 혹은 저율 과세 혜택이 주어집니다. 그러나 ISA 자체 투자금액에 대한 세액공제는 제공하지 않습니다.

반면, 개인연금 계좌는 크게 IRP(개인형퇴직연금)와 연금저축펀드가 있습니다. 이 두 계좌는 연간 납입액 한도 내에서 세액공제가 가능하며, 노후 대비와 절세를 동시에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죠.

2. 세액공제 한도와 공제율은 어떻게 될까?

2025년 현재, IRP와 연금저축 계좌를 합산하여 연간 최대 700만 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율은 13.2%가 적용되죠.

예를 들어, IRP에 400만 원, 연금저축펀드에 300만 원을 납입했다면 두 계좌 합쳐서 700만 원 한도로 세액공제를 받습니다. 700만 원 × 13.2% = 92만 4천 원을 돌려받는 셈입니다.

3. ISA 해지금 2천만 원을 개인연금 계좌에 넣으면 어떻게 될까?

가장 중요한 질문입니다. ISA에서 해지 후 나온 2천만 원을 IRP와 연금저축펀드에 나눠 넣었다고 해도, 세액공제는 위에서 언급한 연간 한도 700만 원 내에서만 인정됩니다.

즉, 2천만 원을 모두 넣어도 세액공제는 최대 700만 원까지만 인정되고, 2천만 원 전체에 대해 세액공제가 되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ISA 투자금 자체에 대해서는 별도의 세액공제가 없으니, ISA 금액에 10%나 13.2% 세액공제가 추가로 붙는다는 것은 오해입니다.

4. 주변에서 흔히 듣는 오해 바로잡기

주변에서 “ISA 해지금 전액에 대해 세액공제 받는다”거나 “ISA 금액에 10% 세액공제도 추가로 적용된다”는 말 많이 듣죠? 이 부분은 사실이 아닙니다.

ISA는 투자 수익에 대해 비과세 혜택은 있으나, 투자 원금에 대한 세액공제는 없습니다. 이 점이 개인연금 계좌와 크게 다릅니다.

또 IRP와 연금저축 합산 한도 700만 원 초과분에 대해서는 세액공제를 받지 못합니다. 따라서 납입 금액을 잘 계획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구체적인 사례로 이해하기

예를 들어, 올해 IRP에 400만 원, 연금저축에 1,600만 원을 넣었다고 가정해 봅시다. 총 2,000만 원 납입이지만 세액공제 한도는 700만 원입니다.

따라서 700만 원 × 13.2% = 92만 4천 원만 세액공제로 인정됩니다. 나머지 1,300만 원에 대해서는 세액공제 대상이 아닙니다.

ISA 해지 후 2천만 원을 모두 연금계좌에 넣어도 마찬가지입니다. 세액공제는 700만 원 한도 내에서만 적용됩니다.

결론

ISA를 해지하고 남은 금액을 개인연금 계좌에 넣을 때, 가장 중요한 점은 세액공제 한도가 IRP와 연금저축 계좌 합산 연 700만 원이라는 사실입니다. ISA 투자금 자체에 대해 세액공제는 전혀 없으니, 이 부분을 명확히 이해하고 절세 전략을 세우는 게 꼭 필요합니다.

저도 처음에는 주변 얘기에 흔들렸지만, 직접 확인하고 나니 오히려 더 깔끔하게 투자 계획을 세울 수 있었습니다. 여러분도 세액공제 규정을 제대로 알고 투자하셔서, 복잡한 세금 문제에서 자유로워지시길 바랍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