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보증금을 받았다. 이 경우의 회계처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1. 건물 임대와 보증금
질문:
내가 건물의 주인이고, 그 건물을 임대했으며 보증금을 받았다. 이 경우의 회계처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답변:
- 현금 수입: 보증금을 받으면 현금이 유입되므로, 현금 계정에 차변을 기입합니다.
- 부채 발생: 보증금은 나중에 임차인이 퇴거할 때 반환해야 하므로 부채로 처리해야 합니다. '보증금 반환의무'라는 부채 계정에 대변을 기입합니다.
회계처리 예시:
- 차변: 현금
- 대변: 보증금 반환의무 (부채)
2. 주식 발행
질문:
회사가 주식 10주를 700원에 발행했다고 할 때, 이 회계처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답변:
- 현금 유입: 주식 발행으로 현금이 들어오므로, 현금 계정에 차변을 기입합니다.
- 자본금 증가: 발행된 주식의 액면가 부분은 자본금으로 처리합니다. 예를 들어, 액면가가 500원이라면 10주 × 500원의 자본금이 발생합니다.
- 자본잉여금: 액면가를 초과한 금액(700원 - 500원 = 200원)은 자본잉여금으로 처리됩니다.
회계처리 예시:
- 차변: 현금 7,000원
- 대변: 자본금 5,000원 (액면가)
- 대변: 자본잉여금 2,000원 (액면가 초과분)
3. 퇴직급여 충당부채
질문:
직원이 1년간 근무했을 때 퇴직급여를 지급해야 할 의무가 생겼는데, 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답변:
- 퇴직급여는 실제로 지급되기 전에도 회사의 부채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 퇴직급여 충당부채를 설정합니다.
- 퇴직급여는 비용으로 처리되며, 이 비용은 '퇴직급여' 계정에 차변을 기입하고, '퇴직급여 충당부채' 계정에 대변을 기입하여 부채를 설정합니다.
회계처리 예시:
- 차변: 퇴직급여 (비용)
- 대변: 퇴직급여 충당부채 (부채)
실제 퇴직금 지급 시 처리:
- 퇴직금을 지급하면 부채 계정에서 차감해야 합니다.
회계처리 예시:
- 차변: 퇴직급여 충당부채
- 대변: 현금
4. 미수수익 및 선급비용
질문:
회계연도 내에서 미수수익이나 선급비용이 발생했을 때, 이에 대한 회계처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답변:
- 미수수익: 이미 발생했지만 아직 수취하지 않은 수익은 '미수수익' 계정에 기록합니다. 이는 자산에 해당합니다.
- 선급비용: 이미 지출했지만 차기 기간에 발생하는 비용은 '선급비용' 계정에 기록합니다. 이는 자산에 해당합니다.
회계처리 예시:
- 미수수익 발생:
- 차변: 미수수익 (자산)
- 대변: 수익 (수익)
- 선급비용 발생:
- 차변: 선급비용 (자산)
- 대변: 현금 (자산)
5. 미지급비용
질문:
회계연도에 미지급된 비용이 발생했을 때, 이를 어떻게 처리해야 할까?
답변:
- 미지급비용: 실제 비용은 발생했지만 아직 지급하지 않은 경우, '미지급비용'을 부채로 설정합니다.
- 미지급비용은 해당 기간에 비용으로 처리되며, 지급 시 현금을 차감하는 방식으로 처리합니다.
회계처리 예시:
- 미지급비용 발생:
- 차변: 비용 (비용)
- 대변: 미지급비용 (부채)
- 미지급비용 지급 시:
- 차변: 미지급비용 (부채)
- 대변: 현금 (자산)
반응형
'세금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판매비와 관리비는 무엇인가요? (0) | 2025.01.10 |
---|---|
보증금과 월세에 대한 회계 처리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0) | 2025.01.09 |
"감가상각비 회계처리는 어떻게 하나요?" (0) | 2025.01.08 |
회사가 시세차익을 목적으로 오피스텔을 구입했다면 어떻게 회계처리하나요? (0) | 2025.01.08 |
회사가 다른 사람이나 회사에게 돈을 빌려주는 경우, 회계 처리는 어떻게 되나요? (0) | 2025.0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