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잠깐! 혹시 통장에 잠자고 있는 돈 때문에 속상하신가요? 저도 한때 그랬답니다. 은행 파킹 통장 금리는 쥐꼬리만 하고, CMA 계좌는 뭔가 복잡하고... ‘내 돈은 왜 쉬고 있는 거지?’ 하는 생각에 잠 못 이루는 밤도 있었어요. 그러다 '파킹 ETF'라는 신세계를 알게 됐죠.
오늘은 저처럼 잠자고 있는 돈을 깨우고 싶은 분들을 위해, 휘뚜루마뚜루 활용 가능한 파킹 ETF 4가지 종류를 꼼꼼하게 비교 분석해 드릴게요. 파킹 ETF가 뭔지, 왜 파킹 통장이나 CMA보다 좋을 수 있는지, 어떤 기준으로 골라야 하는지까지!

파킹 ETF란 무엇일까요? 왜 주목해야 할까요?
파킹 ETF는 마치 파킹 통장처럼 매일 이자가 붙는 구조로 설계된 ETF(상장지수펀드)를 말해요. ETF이기 때문에 일반적인 CMA나 파킹 통장, 예금, 적금과 비교했을 때 몇 가지 뚜렷한 장점을 가지고 있답니다.
1. 복잡한 조건 없이 간편하게!
은행 예금이나 적금, 심지어 파킹 통장도 요즘은 우대 금리 조건이 너무 복잡하죠. 특정 카드 실적을 채워야 한다거나, 급여 이체 실적이 있어야 한다거나... 머리 아픈 조건들이 덕지덕지 붙어있기 일쑤예요. 심지어 제가 오늘 소개해 드릴 파킹 ETF보다 금리가 더 낮은 경우도 허다하답니다.
파킹 ETF는 그런 복잡한 조건 없이, 그냥 증권 계좌에서 상품명이나 여섯 자리 코드를 검색해서 매수하면 끝! 얼마나 간편한가요? 마치 스마트폰 앱으로 물건 주문하듯이 쉽게 투자가 가능하답니다.
2. 절세 계좌 활용 극대화!
이게 정말 중요한 포인트인데요, 파킹 ETF는 ISA(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나 연금저축펀드 같은 절세 계좌에서 활용하기에 아주 유용해요.
제가 얼마 전에 ISA 3년 만기를 채우고 연금저축펀드로 이전하려고 보니, ISA 계좌에 열심히 모아둔 주식들을 전부 매도하고 현금으로 넘겨야 하더라고요. 왜냐고요? 세제 혜택을 주니까요! 그래서 3년마다 ISA 풍차 돌리기를 하는 분들도 많죠.
각설하고, 이렇게 갑자기 생긴 현금을 바로 배당 ETF에 투자하려니, 항상 분할 매수를 해오던 저로서는 섣불리 손이 가지 않더라고요. 그래서 일단 파킹 ETF에 넣어두었습니다. 절세 계좌에 입금하면 다시 출금하는 데 제약이 있기 때문에, 이렇게 절세 계좌 내에서 활용도가 매우 높은 것이 파킹 ETF의 두 번째 장점입니다.

3. 일복리 효과를 누리자!
파킹 ETF는 이자나 배당이 지급되는 구조가 아니라, 주가에 금리가 반영되는 구조로 되어있어요. 즉, 매일매일 주가가 조금씩 오르는 형태로 운용되는 것이죠.
이게 왜 중요하냐면, 복리 형태로 이자가 불어나는 효과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이에요. 물론 예금의 경우 금리가 변동되더라도 처음 가입했을 때의 금리를 만기까지 보장해 주지만, 파킹 ETF는 매일매일 주가에 변동된 금리가 반영되므로 금리 하락기에는 경우에 따라 약간 불리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복리 효과를 무시할 수 없겠죠?
이러한 장점 덕분에 시장의 불확실성이 높아진 요즘, 파킹 ETF의 순자산은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랍니다. 실제로 2023년 한 해 동안 파킹 ETF 시장 규모는 2배 이상 성장했다는 통계도 있을 정도예요

파킹 ETF, 어떻게 분류할 수 있을까요?
자, 그럼 본격적으로 파킹 ETF를 4가지 유형으로 나누어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CD 금리형 ETF: 안정성의 대명사
CD(양도성예금증서)는 은행이 발행하는 단기 금융 상품으로, CD 금리형 ETF는 바로 이 CD 금리를 추종하는 상품입니다. 보통 91일물 CD 금리를 기준으로 하며, 2025년 2월 말 기준 CD 금리는 약 3.6% 수준입니다.
주요 상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ETF들이 있습니다.
* KODEX CD금리 액티브 (코드번호: 426890)
* TIGER CD금리투자KIS (코드번호: 423010)
특히 KODEX CD금리 액티브의 경우, 시장이 불확실하다고 판단될 때 개인 순매수 상위 종목에 이름을 올리기도 할 만큼 거래량이 많은 ETF입니다.
CD 금리형 ETF의 가장 큰 장점은 단연 안정성입니다. CD 금리를 추종하기 때문에 변동성이 낮고, 비교적 예측 가능한 수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2. KOFR 금리형 ETF: 더 안전한 선택?
KOFR(한국무위험지표금리)은 은행 간의 자금 거래를 바탕으로 산출되는 금리로, CD 금리보다 더 낮은 변동성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일반적으로 만기가 하루인 RP(환매조건부채권) 거래를 기반으로 하기 때문에 CD보다 안정성이 높다고 평가받습니다. 이론상 금리가 마이너스가 되지 않는 이상 손실을 볼 수 없는 상품이기도 합니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ETF가 있습니다.
* TIGER KOFR금리액티브(합성) (코드번호: 423020)
* KODEX KOFR금리액티브 (코드번호: 477280)
KOFR 금리형 ETF는 CD 금리형 ETF보다 조금 더 안정적인 투자를 선호하는 분들에게 적합합니다.

3. SOFR 금리형 ETF: 미국 금리 투자, 환율은 주의!
SOFR(Secured Overnight Financing Rate)은 미국 달러 기반의 단기 지표 금리입니다. 2025년 2월 말 기준 약 5.3% 수준으로, 현재 미국 금리가 한국 금리보다 높은 상황이라 KOFR 금리보다 SOFR 금리가 더 높게 형성되어 있습니다.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KODEX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코드번호: 465460)
* TIGER 미국달러SOFR금리액티브(합성) (코드번호: 465450)
미국 금리가 더 높을 때에는 KOFR 금리형에 비해 SOFR 금리형이 무조건 더 좋은 것일까요? 꼭 그렇지는 않습니다. 바로 환율의 영향을 고려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환율이 하락하게 되면, 즉 원화 가치가 상승하게 되면 생각했던 만큼의 수익을 얻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과거에는 환헤지를 하지 않고 SOFR ETF에 투자하는 것은 위험하다는 인식이 있어, 75:25 비율로 SOFR ETF와 미국달러 선물 인버스 ETF를 섞어서 사는 기법도 유행했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환헤지를 하면서까지 얻는 것이 크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환율 변동에 대한 이해도가 높지 않다면, KOFR 금리형 ETF에 투자하는 것이 더 안전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4. MMF 형 ETF: 초단기 채권 투자
MMF(Money Market Fund)는 자산운용사가 CP(기업어음), CD 등에 투자하여 수익을 돌려주는 펀드입니다. MMF 형 ETF는 바로 이 MMF를 기반으로 만들어졌습니다.
보통 ETF 상품명에 '머니마켓'이나 '초단기채권'이라는 단어가 들어갑니다.
대표적인 상품은 다음과 같습니다.
* KODEX 머니마켓액티브 ETF (코드번호: 159850)
* SOL 초단기채권액티브 ETF (코드번호: 416130)
저 또한 연금저축펀드에서 SOL 초단기채권액티브 ETF를 매수하여 현재 1,200만 원 정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이것을 조금씩 팔아서 연금저축펀드 내에서 다른 ETF들을 분할 매수하는 데 활용하고 있습니다. MMF 형 ETF는 단기적인 자금 운용에 유용하며, 다른 파킹 ETF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변동성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파킹 ETF, 현명하게 활용하는 방법
계좌를 살펴보면 생각보다 돈이 잠들어 있는 경우가 정말 많습니다. 하지만 단돈 몇천 원, 몇만 원이라도 그냥 잠들게 해서는 안 됩니다. 작은 행동 하나하나가 습관으로 굳어지고, 습관은 결국 인생을 바꿀 수도 있으니까요. 그런 관점에서 파킹 ETF를 활용하는 것은 정말 좋은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잊지 마세요! 파킹 ETF는 자산 배분의 관점에서 접근해야 하는 것이지, 주된 재테크 수단이 되어서는 절대 안 됩니다.
워렌 버핏은 "가장 안정적으로 보이는 자산이 가장 위험한 자산"이라는 말을 남겼습니다. 저 또한 배당 중심의 투자를 모토로 삼으면서, 투자는 점이 아닌 면이 되게 하고, 더하기가 아닌 곱하기가 되는 자산을 사는 것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더하기는 절대 곱하기를 이길 수 없습니다.

마무리하며
오늘은 파킹 ETF 4가지 종류에 대해 자세히 알아봤습니다. 잠자고 있는 돈을 깨우는 데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주식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버크셔 해서웨이의 투자 철학, 어떻게 나의 인컴 투자 전략에 활용할 수 있을까?"(OMAH ETF) (1) | 2025.03.09 |
---|---|
짠테크 마켓핑크의 자산 배분 전략: ETF로 글로벌 투자, 현금 확보 비법 공개! (1) | 2025.03.09 |
40억 자산가의 솔직 담백 투자 이야기: 배당금은 갑옷이자 방패! (1) | 2025.03.09 |
미국 주식 투자, 하락장에도 든든한 방어막! 배당주 리츠(REITs) 파헤치기 (0) | 2025.03.09 |
절세 계좌 ETF 투자, 꼼꼼하게 따져보고 똑똑하게 선택하세요! (0) | 2025.03.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