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담보대출로 미국 배당ETF 투자, 괜찮을까?

by 마켓핑크 2025. 7. 27.
반응형

혹시 여러분은 이런 생각 해보신 적 있으신가요?

“지금 집 담보로 대출받아서 미국 ETF에 투자하면,
월 배당으로 대출 이자도 갚고 노후 준비도 할 수 있지 않을까?”

요즘 같은 고금리 시대에 들으면 무모해 보이는 이야기일 수도 있지만,
사실 알고 보면 꽤 많은 분들이 이 전략에 관심을 갖고 실제로 시도하고 있어요.
저 역시 최근에 지인으로부터 “아파트 담보대출 받아서 SCHD랑 QYLD에 투자하면 어떨까?”
라는 질문을 받고 진지하게 시뮬레이션을 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담보대출 투자 전략의 현실성과 위험 요소,
그리고 보다 효율적인 포트폴리오 구성 방안까지 전부 다뤄보려고 해요.
절대 가볍게 다룰 내용이 아니기 때문에, 끝까지 정독하시면
여러분의 투자 판단에도 큰 도움이 되실 거예요.


레버리지 장기투자, 이렇게 시작했다

A씨는 42세, 현재 본인 명의 아파트를 담보로 3억 원을 대출받았습니다.
금리는 고정 4%, 원리금 상환 방식으로 월 125만 원, 연간 약 1500만 원 부담이 생기죠.
여기에 본인의 현금 1억을 더해서 총 4억 원 규모의 미국 ETF 투자 포트폴리오를 만들 계획이에요.

투자 구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 SCHD 2억 원: 안정적인 배당 + 꾸준한 성장
  • JEPQ 1억 원: 중위험 중배당 + 성장형 기술주
  • QYLD 1억 원: 고배당 중심의 월 분배 전략

이 포트폴리오에서 기대되는 연간 배당 수익은 약 2600만 원 수준입니다.
즉, 연간 대출 원리금 1500만 원을 빼고도 1100만 원의 여유 현금흐름이 생기게 되죠.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고배당 ETF의 진실

이쯤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부분이 있어요.
많은 분들이 “QYLD 같은 고배당 ETF면 이자 상환도 가능하고 돈도 남겠네!”라고 생각하시는데,
실상은 조금 다릅니다.

QYLD는 배당이 아닌 옵션 프리미엄 수익을 월 분배하는 구조예요.
즉, 주가 상승이 제한되고 장기적으로는 총수익률이 낮거나 손실이 날 수도 있어요.

2021년부터 2024년까지 QYLD의 성과를 보면,
배당은 연평균 11% 수준이었지만, 주가는 오히려 우하향이었습니다.
그 말은? 받는 배당은 많지만 자산 가치는 깎이는 구조라는 거예요.


금종세(금융소득 종합과세), 정말 괜찮을까?

담보대출 투자를 실행하면 고정적으로 배당이 들어오게 됩니다.
A씨의 경우 2600만 원 수령 예상인데, 여기서 문제가 생깁니다.

국내 세법상, 금융소득이 연 2000만 원을 초과하면
그 초과분은 다른 소득과 합산되어 최대 49.5%의 종합과세 대상이 됩니다.

즉, 기대했던 순배당금이 절반 가까이 날아갈 수도 있다는 얘기예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ISA계좌, 퇴직연금 계좌를 활용하여
세금을 줄이거나 이연하는 전략을 같이 쓰는 거죠.

A씨도 향후 퇴직연금을 DC형으로 전환
SCHD나 S&P500 ETF를 장기 보유하는 계획을 세우고 있습니다.


좀 더 실용적인 포트폴리오 구성 제안

저라면 QYLD 1억은 너무 과하다고 생각해요.
QYLD는 월 배당이라는 장점은 있지만,
자산 가치가 장기적으로 성장하지 않는 한 레버리지 투자에는 맞지 않아요.

대신 아래처럼 구성해보는 걸 제안드립니다:

  • SCHD 1.5억: 미국 고배당+퀄리티 기업 중심
  • JEPI 7000만 원: 월배당 + 낮은 변동성
  • QQQM 7000만 원: 나스닥 성장 + 분할매수
  • GLIF 또는 UTES 3000만 원: 인프라 고배당 ETF
  • 현금성 자산 3000만 원: 유동성 확보, 하락장 대응

이렇게 하면 배당과 성장의 균형을 맞추면서도
금융소득 종합과세도 어느 정도 피할 수 있습니다.


담보대출 투자 전략, 이렇게 접근하세요

  1. 목표 수익률 vs 대출이자 비교
    • 4% 고정금리를 감당하려면, 최소한 연 7% 이상의 안정 수익이 필요합니다.
    • ETF 배당률, 총수익률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해요.
  2. 하락장 대비 리스크 관리 필수
    • 원리금 상환 압박은 변동장에선 심리적 부담이 큽니다.
    • 한 달 배당이 끊기면 계획 전체가 흔들릴 수 있어요.
  3. 분산과 리밸런싱은 기본
    • 분기 또는 반기마다 수익률을 평가하고
      위험한 ETF 비중은 줄이고 안정형으로 교체하세요.
  4. ISA 및 퇴직연금 적극 활용
    • 세금 문제를 줄이는 가장 현실적인 방법입니다.

마무리하며: 당신의 투자에 현실성을 더하세요

지금 이 글을 읽고 계신 분 중에도,
“이거 나도 할 수 있을까?” 고민하시는 분들이 계실 거예요.
레버리지 투자는 분명히 현금흐름을 빠르게 만들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하지만 동시에 그만큼 위험도 높고, 섬세한 설계가 필요한 전략이기도 하죠.

단순히 “배당이 많이 나오니까 괜찮겠지”라는 접근은
막상 하락장이 오면 너무 위험합니다.
반대로, 계획적으로 준비하고 적절히 리밸런싱하면서
ISA, 퇴직연금 같은 제도를 함께 활용한다면
은퇴 후 든든한 현금흐름을 만드는 데 매우 유효한 전략이 될 수 있어요.


마켓핑크의 한 마디

담보대출 투자는 돈이 돈을 만드는 구조를 만들 수 있는 도전입니다.
하지만 제대로 설계하지 않으면, 그 돈이 내 자산을 갉아먹는 칼날이 될 수도 있어요.
언제나 “수익”보다는 “지속 가능성”에 초점을 두고
여유 있는 현금흐름, 방어 전략, 세금까지 고려한 투자를 설계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