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식투자

연금저축과 IRP, 왜 1800만원부터 채워야 할까? 직투보다 절세가 먼저인 이유

by 마켓핑크 2025. 7. 21.
반응형

"주식으로 수익 내는 것도 중요하지만, 세금으로 빠져나가는 돈을 막는 것부터 시작하는 게 맞지 않을까요?"

예전에 저도 '연금저축이니 IRP니 다 귀찮고 복잡하다'는 생각으로 무작정 미국 ETF에 직접 투자하는 것부터 시작했어요. 하지만 지금은 완전히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절세 계좌 먼저 챙기지 않으면, 10년 뒤 투자 결과가 하늘과 땅 차이가 된다는 걸 직접 겪었기 때문이에요.

오늘은 여러분께 왜 '연금저축 IRP 1800만원'부터 채워야 하는지, 그 이유를 친근하고 구체적으로 풀어보려고 해요.

특히 **직접투자(직투)**와 비교했을 때 절세 계좌의 장점이 얼마나 큰지, 절대로 놓쳐서는 안 될 세금 혜택들을 이야기해볼게요.


💡 왜 다들 “1800만원부터 채워라”고 말할까?

많은 투자자 커뮤니티를 보다 보면 꼭 나오는 말이 있어요.
"연금저축 600, IRP 700, 합쳐서 1300만원부터 채워라. 여유 되면 IRP 500 더 넣어서 1800 채우자."

그런데 왜 하필 1800만원일까요? 단순히 숫자가 예뻐서가 아닙니다. 여기에는 아주 명확한 세제 혜택과 법적 한도가 있어요.

📌 세액공제 혜택, 최대 16.5%

연금저축과 IRP는 단순한 투자계좌가 아니에요.
정부가 세금 깎아줄 테니 노후 준비 좀 해라 하고 주는 '혜자 혜택 계좌'죠.

  • 연금저축: 연간 600만원까지 세액공제 대상
  • IRP: 연간 7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 총합: 1,300만원까지 세액공제 가능

세액공제율은 다음과 같아요.

종합소득금액세액공제율
5,500만원 이하 16.5% (지방세 포함)
5,500만원 초과 13.2% (지방세 포함)
 

즉, 연금저축과 IRP에 1,300만원을 넣으면
👉 최대 약 214만 5천원을 연말정산에서 돌려받을 수 있어요.

게다가, 세액공제 혜택은 매년 제공되기 때문에 10년간 넣으면 2,000만 원이 넘는 절세 효과를 누릴 수 있어요.
직투로는 절대 못 받는 혜택이죠.


🔍 그럼 왜 1800만원까지 채우라고 할까?

세액공제는 1,300만원까지지만, 계좌 납입 한도는 연 1,800만원까지예요.

  • IRP의 총 한도는 1,800만원
  • 세액공제는 700만원까지만 되지만
  • 나머지 500만원은 과세이연 효과와 저율 과세로 혜택을 봅니다.

즉, 세액공제는 안 되더라도 나머지 금액에 대해선 매년 수익에 대한 세금을 내지 않기 때문에
복리 효과가 극대화되는 거예요.


🙅‍♀️ 많은 사람들이 오해하는 부분

  1. "연금저축, IRP는 수익률이 안 좋다며?"
    → 아닙니다. 두 계좌 모두 주식 ETF 매수가 가능합니다.
    예: S&P500 ETF (VOO, SPY), QQQ, 심지어 KODEX나 TIGER ETF도 선택 가능.
  2. "60세까지 못 빼니까 답답해서 싫다"
    → 단기 자금이 아닌 노후 대비 자금으로 활용해야 합니다.
    돈 묶이는 게 아니라, 세금 혜택 + 수익 극대화를 위한 장기 전략이에요.
  3. "나중에 받을 때 세금 또 내잖아"
    → 맞아요. 하지만 연금 수령 시 세율은 단 3.3~5.5% 수준입니다.
    일반 계좌의 이자소득세(15.4%)보다 훨씬 유리하죠.

✅ 실전 사례: 마켓핑크의 연금저축 활용 경험

2022년부터 연금저축에 S&P500 ETF를 매수하기 시작했어요.
처음엔 600만원만 채웠는데, 연말정산에서 99만원 환급받고 충격을 받았죠.
이후 IRP 계좌도 개설해서 매년 1,300만원씩 꾸준히 납입했고, 지금은 계좌 잔고가 꽤 많이 불어났어요.

무엇보다 중요한 건, 일반 계좌였다면 매년 15.4%씩 세금을 떼였을 이익이,
이 계좌에선 전부 복리로 굴러가고 있다는 점이었어요.

이걸 체감하고 나니, 이제는 ETF 직투보다 먼저 절세 계좌부터 채우고 있습니다.


🧾 ISA보다도 우선순위인 이유

많은 분들이 "ISA도 세금 혜택 있는데 왜 뒤에 해야 해요?"라고 묻습니다.
ISA는 **비과세 한도(200~400만 원)**가 상대적으로 적고, 세액공제는 아예 없습니다.

따라서 투자 순서는 이렇습니다.

연금저축 (600만원) → IRP (700~1,200만원) → ISA (2천만원 한도) → 일반계좌(직투)


✅ 결론: 세금부터 아껴야 수익이 남는다

주식으로 10% 수익 내도, 세금 15.4% 내면 실질 수익은 8.5%입니다.
하지만 연금저축과 IRP는 세금 아끼고, 복리로 굴리고, 연말정산 환급까지 받는 1석 3조 전략이에요.

누구나 주식 수익률 고민하지만,
정작 세금으로 새는 돈은 무심코 넘겨버리는 경우가 너무 많아요.

연금저축 IRP 1800만원,
이건 단순한 절세가 아니라,
**노후를 위한 ‘절대 손해 안 보는 습관’**입니다.

오늘부터라도 투자 계획 다시 점검해보세요.
주식보다 먼저 챙겨야 할 건, 바로 이 절세 전략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