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서울 아파트, 정말 끝없이 오르는 걸까?
여러분, 혹시 요즘 서울 아파트 시세 보셨나요? 저는 지난주에 KB부동산 자료를 확인하다가 깜짝 놀랐어요. 한강 이남 11개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이 18억 원을 돌파했다는 거예요. 평범하게 생각하면 ‘와, 진짜 비싸다’ 수준을 넘어선 느낌이었죠.
서울 남쪽 지역이 특히 더 강세를 보이고 있다는 뉴스가 자주 나오긴 했지만, 이렇게 구체적인 평균 가격 수치로 확인하니 현실감이 확 와 닿더라고요. 사실 집값이 오르는 건 단순히 숫자의 문제가 아니잖아요. 내 집 마련 계획이 있는 사람들, 전세로 살고 있는 사람들, 투자 목적으로 움직이는 사람들 모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왜 지금 서울 집값이 이렇게까지 오른 건지 이해할 필요가 있어요.
오늘은 KB부동산 9월 동향 자료를 기반으로 한강 이남 11개구 아파트값 상승의 배경과 수도권 전반, 그리고 전세시장까지 포함해 자세히 분석해 보려고 해요.
본론: 한강 이남, 서울 전체, 수도권까지… 집값 상승 배경
1. 한강 이남 11개구 평균 18억 돌파
KB부동산 자료를 보면, 지난 15일 기준 한강 이남 11개구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18억677만 원으로 나타났어요. 지난달 대비 0.64% 상승했는데, KB부동산이 통계를 집계한 이후 처음으로 18억을 넘은 수치예요.
이 상승의 중심에는 송파, 강동, 광진, 성동, 용산, 동작, 강남, 마포 등 인기 학군과 교통 접근성이 좋은 지역들이 있죠. 예를 들어 송파구는 1.6%, 중구 1.54%, 강동구 1.53% 등 지역별 상승률도 꽤 높게 나타났어요. 이렇게 주요 지역 아파트값이 함께 오르면서 평균값도 자연스럽게 상승한 거예요.
정말 체감적으로도 ‘한강 남쪽’이라는 말만 들어도 집값이 높다는 이미지가 머리에 떠오르잖아요. 이번 통계가 바로 그 현실을 보여주는 거죠.
2. 서울 전체 아파트 평균은?
서울 전체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14억 3,621만 원으로 18개월 연속 상승세를 기록했어요. 7월에는 1.28%, 8월에는 0.6% 상승하며 상승폭이 잠깐 줄었지만, 9월에는 다시 0.82%로 오름폭이 커졌어요.
이런 데이터를 보면, 한강 이남뿐 아니라 서울 전역에서 집값이 꾸준히 올라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어요. 특히 강남권이나 용산, 송파, 성동구처럼 수요가 집중되는 지역은 상승률이 높아 ‘부동산 양극화’ 현상이 계속되고 있다고 볼 수 있죠.
3. 수도권, 3년 만에 8억대 재진입
경기도와 인천까지 포함한 수도권 평균 아파트 매매가격은 8억46만 원으로 집계되었어요. 2022년 9월 정점을 찍고 잠시 7억대로 내려갔던 수도권 평균이 다시 8억대로 올라왔다는 점이 눈에 띄죠.
성남 분당구는 1.77%, 광명 1.23%, 성남 수정구 1.14%로 상승세가 뚜렷했고, 인천은 7월 이후 보합권에서 움직이고 있어요. 결국 서울과 수도권 중심의 수요가 아파트값 상승을 견인하고 있는 상황이에요.
4. 전국 아파트와 전세시장 동향
이번 달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10% 상승, 6개월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어요. 다만 부산, 대구, 광주, 대전 등 5개 광역시는 일부 하락(-0.2~0.27%)을 보였고, 울산만 0.22% 상승했어요.
전세시장도 예외는 아니에요.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은 0.14% 상승하며 7개월 연속 올랐고, 수도권은 26개월째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어요. 특히 서울은 0.4%, 경기는 0.17%, 인천은 0.06% 상승하면서 실수요층의 부담이 점점 커지고 있는 상황이에요.
5. 상승 전망지수와 투자 심리
KB부동산에서 발표한 서울 매매가격 전망지수를 보면 116.4로, 지난달 102.6에서 크게 상승했어요. 100을 초과하면 상승 전망이 많다는 뜻이죠. 즉, 중개업소와 시장 참여자들이 앞으로 집값이 더 오를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있다는 의미예요.
이런 전망지수는 투자 심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줘요. ‘조금 더 기다렸다가 사야겠다’ 혹은 ‘올해 안에 매수해야겠다’는 판단을 하게 만드는 중요한 지표라고 볼 수 있어요.
결론: 서울 집값, 이제는 선택 아닌 필수 고민
결국 이번 한강 이남 11개구 아파트 평균 18억 돌파는 단순히 숫자가 아닌, 서울 남쪽 지역의 지속적 수요와 교통·학군·주거환경의 복합적인 결과예요.
집값 상승은 단순히 투자자만 고민할 문제가 아니라, 내 집 마련을 꿈꾸는 실수요자, 전세로 사는 가구 모두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요. 특히 전세가격까지 상승하면서 부담이 커지는 현실에서, 서울과 수도권 부동산 시장 동향을 제대로 이해하고 대응하는 게 중요하다는 걸 다시 한번 느끼게 돼요.
여러분도 내 집 마련이나 투자 계획을 세우신다면, 단순히 뉴스 기사만 보는 것보다는 KB부동산과 같은 공식 통계를 기반으로 판단하는 게 훨씬 현실적이에요. 서울 아파트 시장, 생각보다 더 치열하고 빠르게 움직이고 있으니까요.
'부동산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늘 집을 매도했습니다. 16억, 어디에 투자해야 할까요? (0) | 2025.10.04 |
---|---|
갭투자 후 6.27 이후 등기쳤다면? 전세보증금 반환, 어떻게 해야 할까요? (0) | 2025.10.02 |
부동산 경험에서 얻은 7가지 진짜 팁 (0) | 2025.09.25 |
“7억으로 수성구 진입? 범어이편한 vs 범어숲 화성, 어디가 더 실거주 만족도 높을까?” (0) | 2025.09.20 |
“목동 단지 아파트, 27억으로 여아 학군까지 잡으려면 어디가 좋을까?” (0) | 2025.09.17 |